베이스볼 분데스리가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북부 리그 2019 시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onn_Capitals_Insignia.png파일:c57089eb2a139de04ec1b962eeaa6bc1-bpfull.jp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Cologne_Cardinals.svg.png파일:Dortmund_Wild_Farmers-Logo.png
파일:external/www.stealers.de/HAMBURG-STEALERS.png파일:졸링겐 엘리게이터 엠블럼.sv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ntouchables-Paderborn-Letter.png파일:버민스.jpg
남부 리그 2019 시즌
파일:external/8eb3baf7d9263998cd863e64ca3e275ea0675c4022fd32e9843a5b7fcb619d68.jp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eidekoepfe_Logo.png파일:울름 팰컨스.jpg파일:마인츠 애슬레틱스 엠블럼.svg
파일:만하임 토네이도 엠블럼.svg파일:Haar_Disciples.png파일:13495181_1351540338192710_6718138905199057609_n.jp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tuttgart_Reds-Logo.png



베이스볼 분데스리가
파일:베이스볼 분데스리가 로고.svg
정식 명칭베이스볼 분데스리가
영문 명칭Baseball-Bundesliga
창설1984년
참가 구단 수16개 구단
하위 리그2. 분데스리가
최근 우승 구단본 캐피탈(2022)
최다 우승 구단만하임 토네이도(10회)
웹 사이트파일:베이스볼 분데스리가 로고.svg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출신 선수
5. 역대 우승팀
6. 팀별 우승 횟수[1]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www.mister-baseball.com/keller_2013-09-21_REG_vs_SOL_p_0000.jpg
독일의 야구 리그. 프로 경력이 있는 선수들에게 일정 급료를 지급하는 세미 프로 리그로 야구 리그로 규모는 유럽 야구 내에서는 큰 편이다.

참고로 이 리그를 부를 땐 반드시 베이스볼 분데스리가라고 해야 한다. 당장 독일인들에게 분데스리가를 물으면 열에 은(…) 축구의 분데스리가로 알아듣기 때문. 분데스리가는 연방리그라는 의미인지라 독일은 어떠한 스포츠 종목이든 프로리그 명칭을 '분데스리가'로 통일한다. 하지만 그 중에서 단연 축구의 인기가 압도적이므로 사실상 '분데스리가'는 독일 프로축구리그를 상징하는 단어가 되어버렸다. 또 독일에서 야구(baseball)는 독일식으로 바제발(--)이 아닌 영어식으로 베이스볼이라고 읽는다.


2. 역사[편집]


1890년대에 크리켓의 영향으로 독일식 야구인 슐라크발[2]이 생겨났고 여기서 더 발전되어 야구로 전환했다는 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에 의해 처음 야구 경기가 치루어졌다고 보며, 정식 야구 경기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을 그 시초로 볼 수 있다.

세계 2차대전 종전후, 미군 출신의 지도자들에 의해 서독에서 야구의 저변이 조금씩 넓어지며 1955년 2회 유럽야구선수권대회에서 3위, 1957년 4회 대회에서 준우승을 기록하며 유럽야구의 강호로 거듭났다. 하지만 50년대 중후반 이후 미군이 미국으로 돌아가면서 서독의 야구 발전은 정체기를 맞이했다. 1973년 독일 최초의 야구 경기장이 건설되었지만, 70년대에 이르러서는 단 1개의 팀만 남았으며 (80년대 베이스볼 분데스리가의 단골 우승팀인 만하임 토네이도) 공식적인 국가 단위의 리그도 열리지 않았다.

1984년에 독일 내부의 야구리그들을 통합, 운영하기 위해 베이스볼 분데스리가가 창설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갖춰지게 되었다. 2010년대 이후 유럽의 양대 리그인 네덜란드/이탈리아를 제외하고는 가장 안정적인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는 리그라고 볼 수 있다.

파일:external/baseball-deutschland.de/Armin-Wolf-Arena_Regensburg_2009_by_Walter_Keller-1024x440.jpg
부흐빈더 레겐스부르크의 홈구장인 아르민 볼프 아레나(Armin Wolf Arena).[3]




3. 특징[편집]


  • 세미 프로리그이고, 정식 프로선수들이 아니다 보니 보통 직업을 따로 가진 선수들이 대부분이다.
  • 매년 4월 초에 리그를 시작하며 경기도 일주일에 2번 가지는데 현지시각으로 금요일 저녁 7시, 토요일 오후 2시에 갖는다.[4]
  • 유럽의 스포츠 리그다 보니 상하위리그가 있고 승강제가 존재하는데 하위리그는 2 베이스볼 분데스리가, 레기오날리가(Regionalliga)가 있다.
  • 북부리그와 남부리그로 나뉘며 각각 8개팀 씩 총 16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 매 시즌 북부는 24경기, 남부는 28경기로 진행된다.
  • 각 조에서 4위까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조별 순위대로 대칭하여 토너먼트 경기를 한다. 예를 들면 북부 1위 팀과 남부 4위 팀 혹은 남부 1위와 북부 4위 이런 식.
  • 인터넷 중계도 하고 있다. legionaere tv Haar Disciples tv Alligators TV

파일:external/scontent.xx.fbcdn.net/12900995_575520039272568_6578688735631383489_o.jpg
  • 부흐빈더 레겐스부르크의 경우 MLB에 독일 출신 유망주를 공급하는 중요 산실이며 매년 미국으로 건너가고 있다. 3루 측 경기장 외곽에 기숙학교가 신축되었으며 1층에는 비치하우스(BEACH HOUSE)를 입주하여 조리 된 음식을 관중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출신 선수[편집]


독일 '출생'의 메이저리거는 40명이 넘지만, 실제로 독일인이 미국에 건너가서 메이저리거가 된 것은 역사적으로 몇명 없으며[5], 독일 분데스리가를 거친 경우는 부흐빈더 유스에서 만 16살이 되던 해 미네소타 트윈스 마이너리그 로 건너간 맥스 케플러가 최초의 독일리그 출신 메이저리거이다. 이후 브렌던 도노반이 2022시즌 신인왕 3위, 유틸리티 부문 골드 글러브를 수상하며 2명으로 늘었다. 독일에서 아마추어 야구를 하다가 건너가서 메이저리거가 된 것도 케플러와 2013년 메이저리거가 된 선수인 도널드 루츠[6] 두 명 뿐이다.

메이저리그 외의 타 국가 프로야구 출신으로는 2016년에 두산 베어스와 삼성 라이온즈에서 뛰었던 강봉규가 이 리그 부흐빈더 레기오네레에서 뛰었고, SK 와이번스 1차지명 잔혹사로 불리던 황건주도 독일에서 1시즌 뛰었다. 또한 2023년에는 NPB에서 통산 97승을 기록한 43세 노장 쿠보 야스토모[7]가 분데스리가의 함부르크 팀과 계약을 맺었다.


5. 역대 우승팀[편집]


연도분데스리가 우승팀남부리그 우승팀북부리그 우승팀
1984만하임 토네이도만하임 토네이도쾰른 다저스
1985만하임 토네이도단일 리그 운영
1986만하임 토네이도단일 리그 운영
1987만하임 토네이도단일 리그 운영
1988만하임 토네이도단일 리그 운영
1989만하임 토네이도단일 리그 운영
1990쾰른 카디널스만하임 토네이도베를린 챌린저스
1991만하임 토네이도만하임 토네이도베를린 챌린저스
1992만하임 아미고만하임 토네이도쾰른 카디널스
1993만하임 토네이도만하임 아미고록슈테트 스틸러스
1994만하임 토네이도만하임 아미고록슈테트 스틸러스
1995트리어 카디널스트리어 카디널스록슈테트 스틸러스
1996트리어 카디널스트리어 카디널스록슈테트 스틸러스
1997만하임 토네이도만하임 토네이도본 캐피탈
1998쾰른 다저스만하임 토네이도쾰른 다저스
1999파더보른 언터처블마인츠 애슬레틱스파더보른 언터처블
2000록슈테트 스틸러스마인츠 애슬레틱스쾰른 다저스
2001파더보른 언터처블만하임 토네이도쾰른 다저스
2002파더보른 언터처블레겐스부르크 레기오내레파더보른 언터처블
2003파더보른 언터처블만하임 토네이도파더보른 언터처블
2004파더보른 언터처블마인츠 애슬레틱스파더보른 언터처블
2005파더보른 언터처블레겐스부르크 레기오내레파더보른 언터처블
2006졸링겐 엘리게이터레겐스부르크 레기오내레졸링겐 엘리게이터
2007마인츠 애슬레틱스레겐스부르크 레기오내레졸링겐 엘리게이터
2008부흐빈더 레기오네레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졸링겐 엘리게이터
2009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부흐빈더 레기오네레졸링겐 엘리게이터
2010부흐빈더 레기오네레부흐빈더 레기오네레졸링겐 엘리게이터
2011부흐빈더 레기오네레부흐빈더 레기오네레파더보른 언터처블
2012부흐빈더 레기오네레부흐빈더 레기오네레파더보른 언터처블
2013부흐빈더 레기오네레부흐빈더 레기오네레졸링겐 엘리게이터
2014졸링겐 엘리게이터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졸링겐 엘리게이터
2015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부흐빈더 레기오네레본 캐피탈
2016마인츠 애슬레틱스마인츠 애슬레틱스본 캐피탈
2017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본 캐피탈
2018본 캐피탈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본 캐피탈
2019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마인츠 애슬레틱스졸링겐 엘리게이터
2020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부흐빈더 레기오네레본 캐피탈
2021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본 캐피탈
2022본 캐피탈구건버거 레기오네레본 캐피탈


6. 팀별 우승 횟수[8][편집]


클럽횟수우승년도
만하임 토네이도10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1, 1993, 1994, 1997
파더보른 언터처블61999, 2001, 2002, 2003, 2004, 2005
하이덴하임 하이데쾨페62009, 2015, 2017, 2019, 2020, 2021
부흐빈더 레기오네레52008, 2010, 2011, 2012, 2013
트리어 카디널스21995, 1996
본 캐피탈22018, 2022
졸링겐 엘리게이터22006, 2014
마인츠 애슬레틱스22007, 2016
쾰른 카디널스11990
만하임 아미고11992
쾰른 다저스11998
함부르크 스틸러스[9]1200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2:15:51에 나무위키 베이스볼 분데스리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횟수가 같을 경우 우승 연도순[2] 어원은 Schlagball로 독일어로 '공을 치는 것'이라는 의미.[3] 평소에는 3천석 규모지만 국제대회를 치를시 1만석 확장이 가능하다.[4] 섬머타임 적용되어 한국과 시차가 7시간 차이 난다.[5] NC 다이노스의 애런 알테어가 독일 출신 빅리그 진출자이다. 독일에서 출생했으며 이중국적자.[6] 출생지는 뉴욕이지만 독일에서 자랐다.[7] 2004년 치바 롯데 마린즈의 희망 입단 프레임(1차지명과 비슷한 제도)으로 입단한 선수로 NPB에서는 선발 위주로 13년간 롯데, 한신, DeNA 3팀을 거치며 97승을 기록한 나름 클라스있던 선수.(신인왕과 승률왕 1회 수상 기록도 갖고 있다.) 이후 2018년에는 미국 독립리그에서 뛰었고 2019년에는 멕시칸리그에 용병으로 출전하여 탈삼진왕을 거뒀다. 이후 2년간은 무적 상태로 있다가 2022년에는 일본 독립리그에서 선발과 불펜을 오가며 뛰었다. 그러나 독립리그에서도 1년만에 퇴단.[8] 횟수가 같을 경우 우승 연도순[9] 록슈테트 스틸러스 시절